JSP 기술의 특징
- 서블릿을 서버측 스크립트로 구성한 언어
-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자동으로 JSP 페이지를 컴파일하여 웹 서비스 제공
- 서블릿 클래스로 변환되어 컴파일
- J2EE를 구성하는 기술 중의 하나
- 스크립트 방식
- Java 언어의 특성을 활용
- 표현 언어, 표현식, 액션 태그 등의 스크립트적
요소를 제공
- 다양한 개발 환경이 오픈 소스로 제공
- .NET 기술은 윈도우 환경에 의존적이어서 개발과 운영 환경 제약
- JSP 기술은 플랫폼에 독립적
- JSP는 오픈 소스 형태로 운영되므로 다양한 기술 표준을 가짐
JSP 기본 용어 정리
- 이클립스 :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, 통합
개발 환경
- JDK(Java Developmsnt Kit) : 자바 프로그램 개발 도구
- Tomcat : Apache에서 개발한 서블릿/JSP 컨테이너, 기본적인 HTTP 웹 서버 내장
- JSP 컨테이너 : JSP 프로그램을 서블릿 프로그램으로 변환하는 기능의 프로그램
- WAS : JSP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결과를 웹 서버에 전달
HTTP 프로토콜의 이해
- 전송 계층 TCP 프로토콜에 기초한
어플리케이션 계층 프로토콜
- www 서비스를 위해 웹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통신하는 규약
- 요청을 위해 접속을 해야 함
- 서버가 응답한 후에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유지하지 않음
- 웹 서버의 부담을 줄이나 상태 관리를 위해 쿠키나 세션 등이 필요
JSP 요소의 종류별
문법(태그 형태)
- 스크립트릿 / JSP 페이지에 삽입되는 Java 코드 / <% %>
- 표현식 / 변수나 수식의 값을 출력할 때 JSP 페이지에
삽입하는 식 / <%= %>
- 선언 / JSP 페이지에 삽입되는 변수 또는 메소드 선언문 / <%! %>
doGet()
- 서버가 서블릿을 통해 GET 요청을
처리하기 위해 호출하는 메소드
- 서블릿 클래스에서 service() 메소드에 의해 호출
- 요청 데이터 읽기
- 응답 헤더 작성
- response.getWriter()를 이용하여 출력 스트림 만들기
- 출력 스트림을 이용하여 응답 데이터 작성
doPost()
- 서버가 서블릿을 통해 POST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호출하는 메소드
- 클라이언트가 웹 서버에 많은 양의 데이터를 한번에 보낼 때 사용
- 요청 데이터 읽기
- 응답 헤더 작성
- response.getWriter()를 이용하여 출력 스트림 만들기
- 출력 스트림을 이용하여 응답 데이터 작성
page 지시어와 속성(contentType, import, autoFlush 등)의 의미
- page 지시어 : 페이지의 속성을
나타내기 위한 것
- contentType : JSP 페이지 실행 결과로 생성되는 문서의 종류(MIME 타입)와 사용 될 charset 정보 설정
- import : JSP 페이지에서 사용할 자바 클래스를 지정
- autoFlush : 출력버퍼가 다 찼을 경우 자동으로 버퍼를 비울 지의 여부를 결정
true의 경우 버퍼가 차게 되면 버퍼를 비워 내용을 클라이언트에 보낸다.
false의 경우 버퍼가 차게 되면 예외를 발생시킨다.
'끄적끄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<챗GPT와 글쓰기> 서평 (0) | 2023.03.02 |
---|---|
2016년 3월 사용언어 순위표 (0) | 2016.04.08 |
2015년 가장 인기있는 코딩 언어 (0) | 2016.03.08 |
프로그래머를 시작하려는 사람에게... (0) | 2016.03.02 |
코딩 스타일 (0) | 2016.01.20 |